본문 바로가기

지표2

지표 구성 시 유의사항 & 서비스에 적용해보기(1) 📍본 포스팅은 [인프런] 카일스쿨의 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 강의를 기반으로 요약 / 실습했습니다. 지표 : 측정하고 싶은 것을 숫자로 표현한 것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→ 문제 정의 과정에서 지표를 생각해야 함(무엇을 확인해야 할까?) 원하는 결과 해당 지표가 어떻게 변할지 🤔 Mental Simulation 하는 것이 중요함 → 불활실성 감소! 지표가 올라간다면 왜 그럴까? → 더 빠르게 올릴 수 있을까? 지표가 내려간다면 왜 그럴까? → 내려가지 않게 하려면 무엇을 해야할까? 좋은 지표의 조건 업무 목적과 관련이 있음 : Objective 측정이 가능함 : Measurable 지표를 토대로 '행동'할 수 있음 : Actionable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음 : Understand 정의를 명확하게 함.. 2024. 3. 21.
[AARRR] 그로스 해킹에서 지표를 잘 선택하고 활용하는 법 지표란? 그로스 해킹은 결과적으로 ‘지표’에 관한 일 지표의 속성에 따른 구분 스톡(Stock) 형태의 지표 : "저장 지표"라고도 하며, 특정 지점의 스냅숏에 해당하는 지표 누적 가입자 수, 누적 거래액, 레벨 1인 사용자 수 등 플로(Flow) 형태의 지표 시작과 끝에 대한 시간 범위가 존재하며, 일정한 시간 동안의 변화량을 나타냄 (예) 1월 1일의 가입자 수, 2월 1일 하루 매출, 일 평균 주고받은 메시지 수 등 지표의 속성에 따라 지표를 모니터링하는 방식이나 대시보드 설계 등이 전혀 달라지므로, 핵심 지표를 선정하거나 그로스 실험의 성과를 측정할 때 지표를 정확히 구분해서 사용해야 함 지표를 명확하게 정의하기 🧐 모호한 지표는 모호한 액션을 이끌 수밖에 없다! ▶︎ 지표의 조작정 정의 같은 지.. 2024. 3. 2.
728x90